질병관리청 기생생물세계은행 기생생물연구소

열대풍토병박물관 메인

서브탑
채소회충

채소

본문

인류와 기생충 질환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기생충은 인류와 역사를 같이 하였다.
불의 사용법을 몰랐던 원시시대에는 사냥과 낚시로 잡은 동물을 그대로 섭취 하였을 것이고, 불을 사용하게 된 후 부터 음식을 익혀 먹게 되었을 것이다. 인간이 여느 동물과 다른 특성 중 하나는 불을 사용한다는 것이고 장기간에 걸쳐 정착된 생식습관이 쉽사리 바뀌기는 어려울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습관을 보면 원시적인 습관부터 현대적인 습관까지 뒤섞여 공존하고 있다. 특히 건강식이라는 이유로 과학적인 근거 없이 민간요법에 따라 생식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생식 습관은 식육매개성 기생충 감염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생충관리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어 기생충 감염이 현저한 감소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생식으로 인하여 감염되는 기생충인 간흡충, 장흡충 등의 흡충류와 유.무구조충, 아시아조충, 스파르가눔 등 조충류의 감염은 상대적으로 돋보이는 상황에 이르렀다. 생식으로 감염되는 기생충으로는 선충류인 광동주혈선충, 아니사키스, 유극악구충, 선모충 등이 있으며, 흡충류에서는 간흡충, 폐흡충, 장흡충 등이 있고, 조충류에서는 광절열두조충, 스파르가눔, 무구조충(민촌충), 유구조충, 갈고리촌충, 아시아촌충, 아시아조충 등이 있는데 이들은 식품 매개성기생충의 대표적인 예이다.

회충 (Introduction)

회충의 기생부위는 소장이며 대변을 통해 배출된 충란은 적당한 온도 및 습도에서 약2주일 후 인체감염형인 자충포장란으로 발육한다. 사람이 자충포장란을 섭취하면 십이지장에서 부화하여 유충이 되고 유충은 장간막의 소정맥, 림프관으로 침입하여 혈류를 타고 우심을 통과한다. 폐동맥, 폐포의 모세혈관에 도달한 후 폐포벽을 뚫고 나와 폐포 내로 이동한 다음 소기관지, 기관지, 기관, 후두개를 지나 식도, 위를 통과하여 소장에 도달함으로써 성충이 된다. 유충이를 통과하며 회충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고, 장내 성충의 기생에 의한 복통,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다수의 충체 감염에 의한 장폐쇄 증도 가능하며 때때로 성충이 소장 이외 부위인 담관, 췌관, 충수돌기 등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Distribution

세계적으로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