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기생생물세계은행 기생생물연구소

열대풍토병박물관 메인

서브탑
포유류아시아촌충

포유류

본문

인류와 기생충 질환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기생충은 인류와 역사를 같이 하였다.
불의 사용법을 몰랐던 원시시대에는 사냥과 낚시로 잡은 동물을 그대로 섭취 하였을 것이고, 불을 사용하게 된 후 부터 음식을 익혀 먹게 되었을 것이다. 인간이 여느 동물과 다른 특성 중 하나는 불을 사용한다는 것이고 장기간에 걸쳐 정착된 생식습관이 쉽사리 바뀌기는 어려울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습관을 보면 원시적인 습관부터 현대적인 습관까지 뒤섞여 공존하고 있다. 특히 건강식이라는 이유로 과학적인 근거 없이 민간요법에 따라 생식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생식 습관은 식육매개성 기생충 감염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생충관리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어 기생충 감염이 현저한 감소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생식으로 인하여 감염되는 기생충인 간흡충, 장흡충 등의 흡충류와 유.무구조충, 아시아조충, 스파르가눔 등 조충류의 감염은 상대적으로 돋보이는 상황에 이르렀다. 생식으로 감염되는 기생충으로는 선충류인 광동주혈선충, 아니사키스, 유극악구충, 선모충 등이 있으며, 흡충류에서는 간흡충, 폐흡충, 장흡충 등이 있고, 조충류에서는 광절열두조충, 스파르가눔, 무구조충(민촌충), 유구조충, 갈고리촌충, 아시아촌충, 아시아조충 등이 있는데 이들은 식품 매개성기생충의 대표적인 예이다.

아시아촌충 (Introduction)

촌충증은 식육매개성 기생충증이며, 사람에서는 3가지의 테니아조충증이 알려져 있다. 유구조충(갈고리 촌충)은 돼지고기를 통하여 감염되므로 'pork tapeworm', 무구조충(민촌충)은 쇠고기를 통하여 감염되므로 'beef tapeworm' 이라고 불린다. 아시아조충(아시아촌충)은 가장 최근 아시아에서 발견되고 기술되었으며, 돼지의 간 등 내장을 통하여 사람에 감염된다. 성충체는 보통 2-6m, 편절수는 보통 700- 1500 마디이다. 사람만이 세 가지 테니아조충의 종숙주가 되며, 가축이 주된 중간숙주이다. 무구조총란과 유구조중란은 근육친화성으로 각각 소와 돼지의 근육을 통하여 인체에 감염되지만 아시아조충란은 내장친화성으로 돼지의 간 등 내장을 통하여 감염된다. 사람이 동물에 있는 이들 낭미충을 경구섭취 하면 2-3개월 내에 사람의 소장상부에서 성충으로 성숙하여 소화기증상을 유발한다. 성충의 수명은 10여년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구 및 무구조충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아시아조충은 아시아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람에서의 감염은 중간숙주의 분포 및 각 지역 사람의 식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테니아조충증의 경우 복통(특히 공복 시), 설사 등이 감염초기에 많이 나타나지만 만성감염증인 경우에는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거나 미약하다. 무구조충과 아시아조충 감염증에서는 때때로 운동성 있는 편절이 배출되므로 감염자들은 항문에 자극을 받아 가성변의를 느껴 화장실에 자주 드나들게 되며, 이때 항문의 불쾌감이 동반된다. 말단수태편절은 마디마디 떨어져 대변에 섞어 나오거나 (무구조충 및 아시아조충). 여러 마디가 함께 떨어져 나오는(유구조충) 편절탈락 현상을 보이므로 자신이 감염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충체의 목(경부) 부위가 절단되면서 편절탈락현상이 생기는 경우 약 2개월간 충체가 다시 자랄 때까지 일시적으로 치료된 것처럼 보이므로 긴 경우 약 10여년간 간헐적으로 이러한 상태가 이어질 수 있다.

감염자 본인이 충체를 수거하여 병원을 찾는 경우에는 편절의 형태로 진단할 수 있으며 특징적인 충란을 검경하여 진단할 수 있다. 섭취한 음식에 대한 과거력이 판단에 도움이 된다. 충란 만으로는 어떤 종인지 감별이 되지 않으나 수태편절의 자궁측지 형태를 관찰하거나 두절을 관찰할 수 있다면 감별이 가능하다. 충체를 고정하고 염색하여 관찰하면 성숙편절의 난소부엽을 관찰함으로써 감별 할 수도 있다. 유구조충의 경우에는 치료에 주의를 요하므로 충체 감별이 중요하다. 쇠고기, 돼지고기나 돼지의 간 등 내장을 잘 익혀 먹어야 한다. 오랫동안 염장하거나 9일 이상 냉동하여도 낭미충이 죽는다. 특히 섭씨56도에서 5분 이상 익히면 낭미충의 두절이 죽게 되지만 실용적으로는 불위의 고기가 열에 변성되어 회갈색으로 변한 후에 먹는 것이 안전하다. 일반적인 예방법으로 도축장에서 수의검역을 실시하고, 사람대변을 위생적으로 처리한다. 특히 갈고리촌충(유구조충)의 충란은 인체낭미충증(유구낭미충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Distribution

무구조충은 소를 기르는 세계 각 지역에 분포하며 쇠고기를 덜 익혀 먹거나 날로 먹어 감염되는데 세 가지를 테니아 조충 가운데 무구조충이 가장 빈번히 발견된다. 유구조충은 돼지를 기르는 지역 특히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아시아와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에 많이 분포한다. 무슬림은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므로 유구조충감염증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감염률을 보인다. 아시아 조충은 돼지의 간을 날로 먹는 습성을 가진 사람들 가운데서 빈번히 발견되며 대만, 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등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