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기생생물세계은행 기생생물연구소

열대풍토병박물관 메인

서브탑
무척추동물폐흡충

무척추동물

본문

인류와 기생충 질환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기생충은 인류와 역사를 같이 하였다.
불의 사용법을 몰랐던 원시시대에는 사냥과 낚시로 잡은 동물을 그대로 섭취 하였을 것이고, 불을 사용하게 된 후 부터 음식을 익혀 먹게 되었을 것이다. 인간이 여느 동물과 다른 특성 중 하나는 불을 사용한다는 것이고 장기간에 걸쳐 정착된 생식습관이 쉽사리 바뀌기는 어려울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습관을 보면 원시적인 습관부터 현대적인 습관까지 뒤섞여 공존하고 있다. 특히 건강식이라는 이유로 과학적인 근거 없이 민간요법에 따라 생식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생식 습관은 식육매개성 기생충 감염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생충관리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어 기생충 감염이 현저한 감소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생식으로 인하여 감염되는 기생충인 간흡충, 장흡충 등의 흡충류와 유.무구조충, 아시아조충, 스파르가눔 등 조충류의 감염은 상대적으로 돋보이는 상황에 이르렀다. 생식으로 감염되는 기생충으로는 선충류인 광동주혈선충, 아니사키스, 유극악구충, 선모충 등이 있으며, 흡충류에서는 간흡충, 폐흡충, 장흡충 등이 있고, 조충류에서는 광절열두조충, 스파르가눔, 무구조충(민촌충), 유구조충, 갈고리촌충, 아시아촌충, 아시아조충 등이 있는데 이들은 식품 매개성기생충의 대표적인 예이다.

폐흡충 (Introduction)

  • 폐의 흡충은 세계적으로 1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과거에 어린이 홍역에 대한 민간요법으 로 가재즙을 먹이는 관습이 있어 폐흡증증이 크게 유행하였다. 폐 조직의 충낭 속에 산란된 충란은 충남 벽의 괴사 부위에서 소기관지를 통하여 기관지로 나오고, 객담과 함께 나오거나 객담을 삼킬 경우 분변 을 통해 외로 배출된다. 외계로 나온 충란은 2내지 3주내에 부화하여 미라시디움이 난개를 열고 물속으로 나와 제1중간숙주인 다슬기에 들어가낭, 레디아유충를 거쳐 꼬리유충으로 발육한다.

꼬리유충을 가지고 있는 제1중간숙 주를 제2중간숙주인 참게, 동남참게, 참가재 등이 잡아먹으면 꼬리유충이 감염되어 아가미나 근육 등에 서피낭유충으로 자란다. 사람이나 동물은 피낭유충을 가지고 있는 제2중간숙주를 날로 먹거나 덜 익혀 먹을 때 감염되며, 인체의 십이지장에서 탈여하여 장벽을 뚫고 복강으로 나간다. 탈낭유충은 복강에서 복벽 근육에 잠깐 머무른 다음 복강으로 나와 횡경막과 늑막을 뚫고 폐조직으로 들어간다. 유충은 소기 관지 근처의 폐 조직에 자리잡은 후 성충으로 자란다. 감염 후 성충으로 되기까지 약 6주가 소요된다.

자연계의 종 숙주로는 호랑이, 늑대, 여우, 오소리, 들개, 너구리, 두더지, 고양이, 개 등이 알려져 있다. 인체 감염은 민물게장, 가재즙, 덜 익힌 가재 또는 멧돼지 근육을 섭취할 때 가능하다. 폐흡충의 유행지 역으로는 일본, 인도, 스리랑카,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중국, 대만, 소련 등이며 우리나 라에서는 전남 및 경남 해안지방, 경북 내륙지방, 강원도, 강화도 등이 농후한 유행지로 보고되었다. 폐흡충증의 병변 및 증상으로 폐 조직에 감염된 충체는 숙주의 반응으로 주위 조직의 섬유화되어 충남이 형성되며 충체가 산란한 충란과 괴사물질, 숙주 면역세포, 혈액 등이 충낭속에 가득차게 되고 소기관지 로 연결되어 기관지로 운반되어 기관지내의 충란, 혈액 등이 가래와 함께 외계로 배출된다. 증상은 심한 기침, 피가 섞인 쇠녹물모양의 가래, 피로감, 전신쇠약, 흉통 등이 나타나며 합병증으로 기관지염, 기흥, 기관지확장 등이 있다. 이 외 폐흡충의 이소기생으로 나타나는 감염증이 총 감염자의 45%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소기생 장소는 복벽, 장벽, 대망, 장간막, 복강, 횡경막, 간늑막, 척추간근, 전립 선, 난소, 뇌, 척수, 피하조직 등으로 기생장소에 따라 다양한 증상과 병변을 초래한다.

Distribution

Life Cycle

폐흡충 라이프사이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