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기생생물세계은행 기생생물연구소

열대풍토병박물관 메인

서브탑
포유류포충

포유류

본문

인류와 기생충 질환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기생충은 인류와 역사를 같이 하였다.
불의 사용법을 몰랐던 원시시대에는 사냥과 낚시로 잡은 동물을 그대로 섭취 하였을 것이고, 불을 사용하게 된 후 부터 음식을 익혀 먹게 되었을 것이다. 인간이 여느 동물과 다른 특성 중 하나는 불을 사용한다는 것이고 장기간에 걸쳐 정착된 생식습관이 쉽사리 바뀌기는 어려울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습관을 보면 원시적인 습관부터 현대적인 습관까지 뒤섞여 공존하고 있다. 특히 건강식이라는 이유로 과학적인 근거 없이 민간요법에 따라 생식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생식 습관은 식육매개성 기생충 감염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생충관리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어 기생충 감염이 현저한 감소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생식으로 인하여 감염되는 기생충인 간흡충, 장흡충 등의 흡충류와 유.무구조충, 아시아조충, 스파르가눔 등 조충류의 감염은 상대적으로 돋보이는 상황에 이르렀다. 생식으로 감염되는 기생충으로는 선충류인 광동주혈선충, 아니사키스, 유극악구충, 선모충 등이 있으며, 흡충류에서는 간흡충, 폐흡충, 장흡충 등이 있고, 조충류에서는 광절열두조충, 스파르가눔, 무구조충(민촌충), 유구조충, 갈고리촌충, 아시아촌충, 아시아조충 등이 있는데 이들은 식품 매개성기생충의 대표적인 예이다.

포충 (Introduction)

포충증은 조충의 애벌레 상태인 단방포충이나 다방포충이 인체에 우연감염되어 간이나 폐 등 주요기관 에서 일으키는 감염증으로 인수공통질환의 하나이다.

단방조충의 애벌레인 단방포충이나, 다방조충의 애벌레인 다방포충, 또는 포겔다방조충의 애벌레인 포겔다방포충이 원인이다. 단방포충은 유백색으로 직경이 수센티미터에서 수십 센티미터 크기로 발견 된다. 포충안에 더 작은 포충을 가지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포충 내부에는 모래같이 수많은 원두절(포충사 또는 포충모래)과 낭액으로 채워져 있다. 다방포충은 이와 달리 통기성 해면질덩어리로 주위조직과의 경계가 불명확한 폐포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포의 내강은 작고 불규칙한 공간이 젤리와 같은 물질로 차있다. 성충은 2-3mm의 매우 작은 조충으로 두절과 미성숙 성숙, 수태편절 등 단3개 내외의 편절로 이루어져 있다. 충란은 형태적으로 테니아조충란과 유사하여 구분되지 않는다.

중간숙주동물체내에서 자라야 할 애벌레가 우연감염으로 사람체내에서 자라게 되어 발병한다. 이 애벌레를 보유한 초식, 잡식동물의 내장을 먹은 종숙주(개 등) 장내에 성충을 보유하게 된다. 종숙주의 대변을 통하여 나온 충란은 환경을 오염시킨다. 사람이 오염된 충란을 경구섭취하면 장내에서 소화액의 작용으로 육구자충이 유리되어 혈류를 타고 여러 장기로 퍼져 결국 체내에 유충을 보유하게 된다. 다방포충은 간과 폐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지만 신장, 골조직, 안구, 심장, 뇌 등에서도 발견된다. 포충은 수개월에서 십 수 년에 걸쳐 천천히 자라므로 주위 조직을 압박할 때 까지 오랜 기간 무증상으로 지날 수 있다. 간포충증은 우엽 아래쪽에 빈번히 발생하며 담관을 압박하여 황달을 유발할 수 있다. 5cm 내외(1-7cm) 직경의 포낭을 적출하는 경우가 보통이지만 20cm 만큼 큰 경우도 보고된다. 외부 충격으로 포낭이 파열되는 경우 과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발열, 두드러기, 호산구증다증 등을 유발하거나 원두절이 다른 기관으로 전이될 수 있다. 폐포충증은 기침, 호흡곤란, 흉통, 각혈 등을 일으킨다.

Distribution

목축이 발달한 세계 여러 지역에 포충증이 많다. 다방포충증은 호주, 뉴질랜드,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시베리아, 몽골, 중국, 중동 등지에, 다방포충증은 일본, 시베리아, 알래스카 등지에, 포겔다방포충증은 파나마, 콜롬비아, 에콰도르 등 중남미에서 발견된다.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다방포충증은 수입증례들이다.

포충

Life Cycle

포충 라이프사이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