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기생생물세계은행 기생생물연구소

열대풍토병박물관 메인

서브탑
어류간흡충

어류

본문

인류와 기생충 질환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기생충은 인류와 역사를 같이 하였다.
불의 사용법을 몰랐던 원시시대에는 사냥과 낚시로 잡은 동물을 그대로 섭취 하였을 것이고, 불을 사용하게 된 후 부터 음식을 익혀 먹게 되었을 것이다. 인간이 여느 동물과 다른 특성 중 하나는 불을 사용한다는 것이고 장기간에 걸쳐 정착된 생식습관이 쉽사리 바뀌기는 어려울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습관을 보면 원시적인 습관부터 현대적인 습관까지 뒤섞여 공존하고 있다. 특히 건강식이라는 이유로 과학적인 근거 없이 민간요법에 따라 생식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생식 습관은 식육매개성 기생충 감염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생충관리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어 기생충 감염이 현저한 감소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생식으로 인하여 감염되는 기생충인 간흡충, 장흡충 등의 흡충류와 유.무구조충, 아시아조충, 스파르가눔 등 조충류의 감염은 상대적으로 돋보이는 상황에 이르렀다. 생식으로 감염되는 기생충으로는 선충류인 광동주혈선충, 아니사키스, 유극악구충, 선모충 등이 있으며, 흡충류에서는 간흡충, 폐흡충, 장흡충 등이 있고, 조충류에서는 광절열두조충, 스파르가눔, 무구조충(민촌충), 유구조충, 갈고리촌충, 아시아촌충, 아시아조충 등이 있는데 이들은 식품 매개성기생충의 대표적인 예이다.

간흡충 (Introduction)

  • 간흡충은 간장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풍토병의 하나이다. 생활사상 자연계 종숙주는 개, 고양이, 여우, 쥐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인체 감염은 민물고기를 날로 먹거나, 오염된 칼, 도마 등을 통해 가능하다. 성충은 종숙주의 간담관내에 기생하며 산란된 충란은 담관 및 장을 따라 내려와 분변과 함께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충란은 물속으로 들어가 제1중간숙주인 쇠우렁 체내에서 딸낭, 레디아유충을 거쳐 꼬리유충으로 발육한다. 꼬리유충은 물속으로 나와 헤엄치다가 제2중간숙주인 잉어과 민물고기의 근육 내로 침입한다. 약40종 이상의 민물고기가 중간숙주로 알려져 있으며 참붕어, 붕어, 잉어, 모래무치, 몰개, 강준치, 참중고기, 누치 등 많은 민물고기가 포함된다.

인체에 감염되면 십이지장에서 탈낭하고, 간내담관으로 이동하여 성충이 된다. 감염후 성충이 되기까지 약 3~4주가 소요되며, 충체의 수명은 15-20년까지도 가능하다고 한다. 병변 및 증상으로 충체에 감염 된 담관은 충체의 물리적 자극과 대사산물 등 화학적 자극에 의해 담관염으로 발병하고, 담관염이 오랜 기간 진행되면 주위조직의 섬유화가 계속되어 간경화로 이행되며, 담관 상피세포 변성에서 유래된 간담관암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감염충체수에 따라 다르나 약200마리 이상 감염시 임상 증상을 나타낸다. 배가 더부룩하고, 황달, 입맛이 없고, 빈혈, 야맹증, 소화불량,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간비종대의 소견이 보이며 담관염 으로 인한 문맥압상승으로 복수가찬다. 감염이 오래 지속되면 합병증으로 담석형성, 담관폐쇄, 간경화증, 간담관암까지 초래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간흡충이 있지만 이와 매우 유사한 간흡충류로 태국 등 동남아에는 타이간흡충, 러시아 주변에는 고양이간흡충이 사람에 감염된다.

Distribution

간흡충은 지역에 따라 Clonorchis. sinensis (중국, 한국 등), Opisthorchis viverrini (타이간흡충,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등), O. felineus (고양이 간흡충, 시베리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등)등이 세계 여러지역에 분포한다.

Life Cycle

간흡충 라이프사이클